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에어컨 전기요금]이걸로 정리합니다.!

by 은행왕뱅킹 2025. 7. 11.
반응형

 

 

 

장마가 벌써 끝났는지 낮이고 밤이고 숨이 막힐듯이 무더운 요즘입니다. 더운 날씨에 맞춰 가정에서 사무실에서 에어컨 많이 사용하실텐데요 해마다 말이 많은 에어컨 전기요금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가짜 정보가 너무 많은데요 집중해서 읽어주세요

 

에어컨 전기요금
에어컨 전기요금

 

 

전국적으로 폭염인 가운데 어떤곳은 최고 40도를 찍었다고 합니다. 에어컨 켤때 반드시 알아야 되는 것들인데요 첫번째로 많이들 궁금해 하시는 외출할때 에어컨 끄고 나가나요? 켜고 나가나요? 이 질문인데요 인터넷을 찾아보면 무조건 끄는게 맞다! 아니다 몇시간이든 그냥 에어컨을 켜두는게 맞다! 논쟁이 많은데요 근데 둘 다 아닙니다.

 

에어컨 전기요금
에어컨 전기요금

 

 

이건 딱 정해드릴께요 외출이 90분 즉 1시간 반 안쪽이면 그냥 에어컨을 켜두는게 맞습니다. 실제로 실험 결과 30분에서 60분 사이에선 에어컨을 끄고 다시 켰을때 전력소비량이 오히려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깐 1~2시간 안에 다시 집에 들어올꺼면 그냥 에어컨을 끄지 않고 시원하게 그냥 두시는걸 권장합니다.

 

에어컨 전기요금
에어컨 전기요금

 

 

이어서 두번째는 그래서 우리집은 끄지말라고 해서 에어컨을 끄지 않고 계속 켜뒀는데 전기요금 고지서를 보니 전기료 폭탄을 맞았다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이거 때문인데요 집에 있는 에어컨의 옆이나 뒷면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의한 표시'라고 해서 에어컨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격능력 옆에 붉은색 상자에서 보이듯 세개로 나눠서 보이는 숫자들이 있는데요 이런건 인버터형 에어컨이라는 뜻이라 웬만하면 이건 그냥 계속 켜두는게 좋고, 반대로 오른쪽 사진처럼 '정격표시냉방능력'에 숫자가 딱 하나만 보인다면 이건 대부분 정속형 에어컨으로 이건 에어컨을 켜두면 켜둔만큼 소비되고, 켜지 않으면 에어컨이 꺼져있는 시간만큼 전기료를 아낄 수 있으니까 이 부분은 꼭 젭에 있는 에어컨이 무슨형인지 확인을 해두시는게 좋습니다. 

 

인버터형 에어컨정속형 에어컨
인버터형 / 정속형 에어컨

 

세번째 소식은 의외로 많은 분들이 놓치고 있는건데요 에어컨에서 바람이 나올때 보통은 아래 사진처럼 사람이 있는 쪽으로 바람의 방향을 맞추는데 이러면 오히려 전기료가 더 나온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차가운 공기 자체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바람의 방향을 아래가 아닌 위로 해둬야 공간 전체에 차가운 공기가 효과적으로 순환되어 실외기 자체가 덜 돌게(작동)되고 덤으로 전기료 절약까지 함께 되는거죠 

 

 

 

 

바람의 방향바람의 방향
바람의 방향 아래 / 위

 

네번째도 많은 분들이 모르고 헷갈리는 내용인데요 바로 냉방 모드랑 제습 모드 중 어떤게 더 전기를 덜 먹는지 알려드릴텐데요 다행이 이건 아주 간단히 정리가 가능합니다. 제습은 말 그대로 습도의 여부가 작동의 기준이라 장마철 등 습도가 높을때 작동하면 에어컨 실외기가 계속 작동해 전기료가 더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냉방 모드제습 모드
냉방 / 제습 모드

 

 

제습 모드
제습 모드

 

그래서 비오는날 습도가 너무 높은 날에는 제습 모드가 확실히 쾌적하지만 전기료는 그만큼 더 나올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터넷 검색창에 '전기요금 캐시백'이라고 검색하시면 아래처럼 에너지마켓플레이스라고 보이실텐데요 클릭하고 접속하시면 '에너지 캐시백 신청' 이 보입니다.

 

전기요금 캐시백전기요금 캐시백
전기요금 캐시백

 

그러면 직전 2개년 동월 평균 대비 3% 이상 전기를 절감할 경우 자동으로 다음달 전기요금에서 차감을 해주니깐 이것까지 신청해두면 조금이나마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전기요금 캐시백
전기요금 캐시백

 

전기요금 캐시백
전기요금 캐시백

 

오늘 소식도 가족, 주변분들에게 알려주시고 무더운 여름 전기요금 스트레스 없이 잘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